물
-
만약 물속에 계속 있는다면 어떻게 될까?알쓸신잡.com 2024. 5. 16. 10:48
만약 물속에 계속 있는다면 어떻게 될까? 뜨거운 물에 몸을 푹 담그고 있으면 스트레스가 풀리고 기분이 좋아집니다.뜨거운 온도 때문에 혈관이 확장돼 혈액 순환이 원활해지고근육이 이완돼 뭉친 근육을 풀어주며 피로가 풀리기 때문입니다.그렇다면 이런 기분을 오래 느끼기 싶어 물속에 오래 있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아마 몇 분간은 기분 좋은 상태가 지속 될 것입니다.그리고 우리의 손가락과 발가락이 쭈글쭈글해집니다. 과거에는 표피에 있는 각질층은 물을 흡수해 부풀어 오르지만과립층은 물을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차이가 발생해 주름이 생긴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신경에 원인이 있다고 말하곤 합니다.물에 장시간 노출 될 경우 신경계가 신호를 보내 혈관을 수축시켜 의도적으로 주름을 만든다고 ..
-
사막에서 사람이 가장 많이 죽는 이유는 익사다?알쓸신잡.com 2022. 7. 12. 12:21
사막에서 사람이 가장 많이 죽는 이유는 익사다? 두둥! 탁! 사막에서 사람이 지일 많이 죽는 이유가 익사라고 한다. 우리가 상상하는 사막은 물이 전혀 없으며 뜨겁고 광활한 황야 이미지지만 그래서 모든 사람들이 사막에서 사람이 죽는 경우는 탈수나 일사병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물이 전혀 없는 사막에서 어떻게 익사를 하는 걸까? 지구에 있는 모든 사막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바로 강수량이 매우 적고 지표수 양이 상대적으로 극소량이라는 것이다. 강수량이 적으면 비가 안 온다는 것인데 사람이 어떻게 죽는 것 일까? 사막은 강수량이 매우 적어서 5년 동안 비가 내리지 않을 수도 있다고 한다. 하지만 한 번 내리면 폭우고 내리고 폭풍이 불어 물이 넘칠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던 계곡에 갑자기 물이 불어나게 되는 ..
-
물을 안 마시면 사람은 어떻게 될까?알쓸신잡.com 2021. 6. 28. 15:21
사람은 성별, 나이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평균적으로 60~70%가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신생아의 경우 75%가 물이고 태아의 경우는 86%가 물로 이루어져 있죠. 뼈와 살로 이루어진 것 같고 도대체 물이 어디 있나 싶겠지만 세세하게 따져보면 성인의 뇌와 심장은 75% 이상이 물입니다. 딱딱한 고체상태인 뼈 역시 31%가 물이죠. 폐도 상당히 많은 부분이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렇게 우리 몸속에 많은 물이 존재하는데 하루 평균 우리는 2L정도 물을 마셔야 한다고 얘기하죠. 우리가 많은 물을 마셔야 하는 이유는 무엇이며 물을 마시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물을 안 마시면 어떻게 될까? 물은 여러가지 영양소를 소화, 흡수시키는 걸 도와줍니다. 그리고 필요없는 나머지를 몸 밖으로 내보내죠. 우리는 매일 ..
-
총알이 날아올 때 물속이 뛰어들면 살 수 있다?알쓸신잡.com 2021. 5. 14. 22:23
영화 속 세상에서는 현실 세계에서 일어날 수 없는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상황을 더 극적으로 보이기 위해 CG를 사용하거나 과장된 표현을 하기 때문이죠. 그런데 때로는 영화에서 보이는 상황이 현실 세계에서도 정말 가능할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액션 영화를 보면 총을 든 상대로부터 주인공이 쫓기고 있을 때 총에 맞지 않기 위해 물속으로 뛰어들곤 합니다. 상대는 물속으로 총을 쏘지만 주인공은 맞지 않고 유유히 현장을 빠져나갑니다. 그렇다면 실제 총격일 때 물속에 뛰어들면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음속의 이해 물론 우리가 살면서 누군가에 거 쫓기고 있는 상황은 자주 발생하지 않을 것 입니다. 그중에서 총을 든 상대에게 쫓기는 것은 더욱 그렇죠. 총에 따라 다르지만 총알은 1초에 400M 정도를 날아간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