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
2025년 꼭 알아야 할 핵심 IT 기술 트렌드 7가지! 🚀알쓸신잡.com 2025. 7. 11. 15:15
2025년 꼭 알아야 할 핵심 IT 기술 트렌드 7가지! 🚀 안녕하세요! 여러분! 기술이 너무나 빠르게 변해서 따라가기 힘드시죠?걱정 마세요! 오늘은 다가오는 2025년 우리의 삶과 비즈니스를 크게 바꿀 가장 중요한IT 기술 트렌드 7가지를 핵심만 뽑아 알려드리겠습니다! 1. AI 거버넌스: 믿을 수 있는 AI를 위한 약속! 인공지능이 똑똑해지는 만큼 AI의 투명성과 윤리, 보안을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해집니다.2025년에는 신뢰할 수 있는 AI를 만들기 위한 'AI 거버넌스'가 필수가 될 것입니다. 2. 허위 정보 보안: 가짜 정보 이제 그만! 딥페이크나 가짜 뉴스처럼 AI로 만들어진 허위 정보가 사회적 문제입니다. 2025년에는 이런 가짜정보로부터 우리를 보호하고 기업의 평판을 지켜줄 '허위..
-
만약 물속에 계속 있는다면 어떻게 될까?알쓸신잡.com 2024. 5. 16. 10:48
만약 물속에 계속 있는다면 어떻게 될까? 뜨거운 물에 몸을 푹 담그고 있으면 스트레스가 풀리고 기분이 좋아집니다.뜨거운 온도 때문에 혈관이 확장돼 혈액 순환이 원활해지고근육이 이완돼 뭉친 근육을 풀어주며 피로가 풀리기 때문입니다.그렇다면 이런 기분을 오래 느끼기 싶어 물속에 오래 있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아마 몇 분간은 기분 좋은 상태가 지속 될 것입니다.그리고 우리의 손가락과 발가락이 쭈글쭈글해집니다. 과거에는 표피에 있는 각질층은 물을 흡수해 부풀어 오르지만과립층은 물을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차이가 발생해 주름이 생긴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신경에 원인이 있다고 말하곤 합니다.물에 장시간 노출 될 경우 신경계가 신호를 보내 혈관을 수축시켜 의도적으로 주름을 만든다고 ..
-
거리에 비둘기가 이렇게 많은데 비둘기 새끼는 왜 보이지 않을까?알쓸신잡.com 2024. 4. 19. 19:47
거리에 비둘기가 이렇게 많은데 비둘기 새끼는 왜 보이지 않을까? 전 세계 도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새인 비둘기는 우리나라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데 환경부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만 100만 마리 이상 있다고 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렇게 비둘기 개체 수가 많은데 왜 비둘기 새끼는 한 명도 없는 걸 까요? 거리에 이렇게 비둘기가 많으니 어떠한 사람들은 참새가 비둘기의 새끼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물론 이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둘은 엄연한 다른 개체이며 높은 나무나 건물의 가장자리에 둥지를 짓는 참새나 까치와 달리 비둘기는 구석진 곳이나 건물 사이에 둥지를 짓는다고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저희는 비둘기의 둥지를 쉽게 볼 수 없으며 비둘기 1~2번에 알을 낳으며 17일~18일 정도의 알을 품고 있는다고..
-
서울에 웬 무인도?알쓸신잡.com 2022. 11. 9. 09:48
한강 가운데에 떡 하니 있는 무인도 여기에는 사람이 한 명도 안 살까요? 이곳의 이름은 '밤섬' 처음부터 이곳은 무인도는 아니였습니다. 60년대에 400명이 정도 잘 살고 있었는데 대부분 고기잡이, 약초 재배, 배 만들기 등을 하면서 생계를 꾸려가는 사람들이었죠. 그런데 1968년 서울시가 주민들을 이주시키고 밤섬을 폭파시킵니다. 여의도를 개발하기 위해서였죠. 폭파 후에 나온 골재들은 여의도 공사에 썼습니다. 그러나 이때의 밤섬이 약간의 흔적만 남은 사라진 섬이나 마찬가지였던 겁니다. 근데 지금의 밤섬은 폭파 이전의 밤섬보다 무려 6배나 더 커진 상태입니다. 강물의 흐름에 따라 모래나 흙이 퇴적되며 더 커지게 된 것이죠. 사방이 한강뷰인 이 금싸라기 땅을 왜 개발하지 않거나 사람이 살지 않는 걸 까요? ..
-
왜 눈썹 문신은 지워질까?알쓸신잡.com 2022. 9. 8. 09:30
왜 눈썹 문신은 지워질까? 눈썹문신은 일반문신과 다르게 왜 빠르게 지워질까요? 문신을 새기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눈썹문신은 피부 표면인 '표피층'에 합니다. 표피 가장 아래쪽인 '기저층'에 색소를 넣는거죠. 세포들이 끊임없이 분화하면서 오래된 세포들이 각질이거든요? 그래서 표피에 색소를 아무리 깊이 넣어도 어느새 염색된 층이 피부 바깥쪽으로 올라와서 각질로 떨어져 나올 수 밖에 없는 것 이죠. 반면 문신은 표피보다 더 깊이 있는 '진피층'에 색소를 넣는건데요. 진피는 각질로 떨어져 나오지 않죠. 진피층에 바늘로 색소를 찔러 넣으면 우리 몸에 외부침입자가 침입했다고 여기고 면역세포인 '대식세포'를 생성합니다. 그럼 대식세포가 잉크를 병원균으로 인식해서 잡아먹는거예요. 근데 대식세포에는 잉크를 분해하..
-
야한 걸 많이 보면 정말 머리카락이 빨리 자랄까?알쓸신잡.com 2022. 8. 3. 09:00
야한 걸 많이 보면 정말 머리카락이 빨리 자랄까? 사람의 머리카락은 하루 평균 0.3mm씩 자라 한 달이면 약 1cm가 자라난다고 합니다. 머리가 많이 길어지면 지저분 해저서 혹은 다른 스타일을 원해서 머리를 자릅니다. 그런데 자른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 누군가 이런 말을 하곤 합니다. "머리가 왜 이렇게 빨리 자랐어? 야한 거 많이 본 거 아니야?"라고 정말 머리가 빨리 자라게 될까요? 머리카락을 포함한 눈썹, 콧수염, 겨드랑이 털처럼 온몸에 나는 털은 자라는데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남성호르몬이라 불리는 안드로겐 그중에서도 테스토스테론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리 몸 밖에 난 털을 모발이라고 하고 몸안에 있는 털을 모근이라고 하고 모근을 감싸고 있는 것을 모낭이라고 하는데 모근은 모낭으로부터 ..
-
야식을 먹고 자면 아침에 평소보다 배가 더 고픈 이유?알쓸신잡.com 2022. 7. 21. 14:34
야식을 먹고 자면 아침에 평소보다 배가 더 고픈 이유? 우리의 몸을 돌고 있는 피 속에는 포도당이 있는데 포도당이 얼마나 있느냐를 따지는 것이 혈당입니다. 음식을 많이 먹으면 포도당이 공급되면서 혈당이 올라가고 활동을 많이 하면 에너지가 소모되면서 혈당이 내려갑니다. 우리의 몸은 혈당을 언제나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려고 노력합니다. 이것을 혈당의 항상성이라고 하죠. 혈당이 내려가면 췌장에서 글루카곤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돼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한 뒤 피로 보내 혈당을 올립니다. 혈당이 올라가면 췌장에서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돼 피에 있는 포도당을 정착시켜 혈당을 떨어트리는 역할을 합니다. 혈당이 떨어지면 우리는 배고픔을 느끼게 되고 야식으로는 보통 칼로리가 높거나 당이 많은 음식을 선택합니다. 저녁..
-
친자확인 검사를 하면 100%가 아니라 99.9%라고 나오는 걸까?알쓸신잡.com 2022. 7. 4. 18:13
친자확인 검사를 하면 100%가 아니라 99.9%라고 나오는 걸까? 우리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에는 염색체가 있습니다. 염색체에는 DNA가 있고 DNA에는 개인의 특징을 결정해 주는 유전자가 있습니다. 사람은 23쌍의 염색체 즉 46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는데 23개는 아버지로 부터 다른 23개는 어머니로 부터 물려받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의 유전자와 자식의 유전자를 대조해 보면 진짜 혈육이 맞는지 즉 친자가 맞는지 확인해볼수있습니다. 이것을 친자확인 검사라고 하죠. 보통 막장 드라마에서 출생의 비밀을 밝힐 때 주로 등장하곤 하는데 친자일 확률 99.9%라고 나오는데 왜 99.9%라고 하며 0.1% 가능성을 남겨놓는 것일까요? DNA는 긴 사슬 사이 막대 같은 것이 연결 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