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는 데 깨어있다?! 그 이름은 '몽유병'알쓸신잡.com 2021. 7. 13. 09:00728x90SMALL
스마트폰을 어느 정도 사용하고 나면
다음 사용을 위해서 충전을 해야 합니다.
이런 것처럼 사람 역시 활동을 하고 나면
내일을 위해 충전을 해야 하죠.
사람은 잠을 자는 것으로 충전을 하게 되는데
때로는 잠을 자는 것도 아니고
깨어 있는 것도 아닌 상태를 경험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것을 '몽유병'이라고 하는데
도대체 몽유병은 왜 발생하는 것일까요?
몽유병은 왜 발생하는 것 일까?
수면은 총 5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처음 잠에 들게 되는 순간이 1단계이고
5분이 지나게 되면 2단계로 접어들게 됩니다.
이때는 얕은 수면이라 작은 소리에도 쉽게 눈이 떠집니다.
그리고 10분에서 15분이 지나면
3단계로 접어들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뇌파, 맥박, 호흡, 혈압 같은 것들이 안정되고
4단계에 들어가면서 깊은 수면에 빠지게 됩니다.
이런 단계는 빠른 안구 운동이 없기 때문에
비렘 수면(NREM)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후에 있는 5단계 수면이
빠른 안구 운동이 있는 렘(REM) 수면입니다.
몽유병은 비렘 수면 3,4단계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정상적인 수면이라면 비렘 수면과 렘수면이 주기적으로 나타냐야 하지만
몽유병의 경우 비렘 수면과 렘 수면이 불규칙적으로 나타난다고 합니다.
뇌와 척수로 구성되어 있는 중추신경계는
감각을 받아들이고 운동, 생체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잠을 자는 동안에는 중추신경도 휴식을 해야 하지만
어떠한 원인으로 중추신경계가 계속 활성화된다면
몽유병이 발생하게 됩니다.
몽유병은 갑자기 일어나 돌아다니거나
화장실에 가는 경우도 있고
말을 하거나 운전을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난폭한 행동을 하는 경우도 있으니
만약 몽유병을 겪는 사람이 있다면
주위에 위험한 물건을 치워둬야 한다고 합니다.
몽유병의 원인으로는 신경계에 영향을 미 칠정 도의 고열,
지나친 음주, 피로, 스트레스 같은 것들이라고 알려져 있고
유전적 원인도 있습니다.
부모님이 몽유병을 겪었다고 한다면
자식은 몽유병을 경험할 확률이 10배 정도 높아진다고 하지만
몽유병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히지 못했다고 합니다.
게다가 보통 어린 시절 발생하다가
나이가 들다가 자연스럽게 사라지기 마련이라
별다른 치료법 역시 없다고 합니다.
그저 잠을 잘 잘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고
깊은 잠에 빠질 수 있도록
다시 말해 잠을 자는 것으로 완충이 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몽유병을 예방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라고 합니다.
728x90LIST'알쓸신잡.co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트초코를 누가 왜 만든 걸까? (0) 2021.07.17 금붕어의 기억력은 정말 3초일까?! (0) 2021.07.14 남자가 여자보다 오래 살 수 없는 이유 (0) 2021.07.12 사람이 뇌를 100% 사용하면 어떻게 될까? (0) 2021.07.11 지문은 왜 있는 것이며 없으면 어떻게 될까?! (0) 2021.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