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
야식을 먹고 자면 아침에 평소보다 배가 더 고픈 이유?알쓸신잡.com 2022. 7. 21. 14:34
야식을 먹고 자면 아침에 평소보다 배가 더 고픈 이유? 우리의 몸을 돌고 있는 피 속에는 포도당이 있는데 포도당이 얼마나 있느냐를 따지는 것이 혈당입니다. 음식을 많이 먹으면 포도당이 공급되면서 혈당이 올라가고 활동을 많이 하면 에너지가 소모되면서 혈당이 내려갑니다. 우리의 몸은 혈당을 언제나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려고 노력합니다. 이것을 혈당의 항상성이라고 하죠. 혈당이 내려가면 췌장에서 글루카곤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돼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한 뒤 피로 보내 혈당을 올립니다. 혈당이 올라가면 췌장에서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돼 피에 있는 포도당을 정착시켜 혈당을 떨어트리는 역할을 합니다. 혈당이 떨어지면 우리는 배고픔을 느끼게 되고 야식으로는 보통 칼로리가 높거나 당이 많은 음식을 선택합니다. 저녁..
-
데자뷰 현상은 왜 일어나는 걸까?!알쓸신잡.com 2021. 9. 2. 09:00
데자뷔(Deja vu) 현상은 처음 보거나 처음 경험하는 상황임에도 어디선가 본 적이 있거나 경험한 적이 있다고 느끼는 현상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시감이라고도 하는데 통계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의 60%가 경험해본 적이 있는 잘 알려진 현상이라고 합니다. 보통 데자뷔 현상이 일어나면 자신이 착각했다고 생각하고 넘어가기 마련입니다. 근데 1900년도에 프랑스의 의학자인 플로랑스 아르노가 데자뷔를 하나의 현상으로 규정하고 심리학자 에밀 부아라크가 데자뷔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면서 하나의 현상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많은 과학자가 데자뷔 현상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하지만 데자뷔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에 관해서는 아직도 명확히 밝히지 못했고 여러 가설만 존재합니다. 가설 중 에서도 정설로..
-
금붕어의 기억력은 정말 3초일까?!알쓸신잡.com 2021. 7. 14. 09:00
우리는 하루에도 많은 것들을 보고 듣고 경험합니다. 이 모든 것을 기억하면 좋겠지만 안타깝게도 기억력에는 한계가 있어서 일부를 제외하고는 잊어버리게 됩니다. 망각은 신의 축복이라는 말이 있긴 하지만 무언가를 기억하지 못한다는 것은 고통스러운 일입니다. 우리 주변에서 기억력이 좋지 않은 사람에게 '기억력이 금붕어냐?'라고 말을 하고는 합니다. '금붕어의 기억력은 3초'라는 말이 있기 때문이죠. 금붕어의 기억력은 정말 3초 밖에 되지 않을까요? 금붕어의 기억력은 정말 3초일까? 금붕어는 잉어과의 민물고기로 붕어와 형태는 비슷하지만 특이하게 금색을 띄고 있는 붕어의 변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주 흔하기도 하고 예쁜 색을 가지고 있는 덕분에 키우면 물고기 하면 떠오르는 것이 바로 금붕어입니다. 그런데 이런 것..
-
사람이 뇌를 100% 사용하면 어떻게 될까?알쓸신잡.com 2021. 7. 11. 09:00
우리가 기억하고, 학습하고, 인지하고, 행동하고, 생각하고 감정을, 느끼고, 감각을 느끼고,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이유는 뇌가 있기 때문입니다. 야생동물에 비해 날카로운 무기가 없었던 인류가 지구를 지배할 수 있었던 이유는 그들에 비해 뇌가 발달했기 때문입니다. 뇌는 사용할수록 계속 발달합니다. 은잡지를 시청하느 지금 이 순간에도 여러분들의 뇌가 발달하고 있죠. 뇌가 계속 발달한 덕분에 많은 과학자들이 뇌를 연구했지만 아직까지 모든 비밀을 알아내지는 못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이런말이 있습니다. 인간은 뇌를 10%사용하고 있다. 뇌를 100%를 사용하게 된다면 초능력을 사용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정말로 우리가 뇌를 100% 사용한다면 초능력을 사용 할 수 있을까요? 뇌를 100% 사용한다면? 뇌를 ..
-
만약 잠을 자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알쓸신잡.com 2021. 7. 7. 09:00
하루 24시간은 언제나 모두에게 똑같이 주어지지만 때로는 이 시간이 너무 짧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의 평균수면 시간은 7시간 정도로 하루에 약 3분의 1정도로를 자면서 보내게 됩니다. 그래서 24시간이 너무 짦다고 느껴질 때는 잠을 줄이거나 잠을 자지 않고 부족한 시간을 채우곤 합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애초에 잠을 자지 않으면 하루 24시간을 온전히 사용할 수 있으니 더 여유로운 생활이 가능해질 것 같기도 합니다. 사람은 왜 잠을 자는 것이며 잠을 자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잠을 자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평균 수명을 80년으로 봤을 때 우리가 일생동안 잠을 자는 시간은 약 25년 정도라고 합니다. 이 숫자로만 본다면 잠을 잔다는 것은 꽤 오랜 시간을 낭비하는 것 같지만 잠을 자..
-
뇌를 이식하면 기억도 옮겨질까?알쓸신잡.com 2021. 6. 14. 16:08
인간의 뇌를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모든 비밀을 풀지는 못했습니다. 하지만 뇌가 있는 덕분에 기억할 수 있고, 학습할 수 있고, 생각할 수 있고 행동할 수 있고, 감정을 느끼고, 감각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은 알아냈습니다. 뇌는 이렇게 많은 기능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절대 다치면 안 되는 곳이기도 합니다. 뇌를 크게 다쳐 뇌사 상태에 빠지게 되면 다른 장기들이 살아있다고 하더라도 아무런 행동을 할 수 없게 됩니다. 물론 기계에 의해 생명은 계속 유지할 수 있지만 뇌는 다시 깨어 날 수 없기 때문에 마치 죽은 것처럼 영원한 잠에 빠지게 됩니다. 그래서 이런 경우 필요한 사람들에게 장기를 기증해주고 세상을 떠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반대로 뇌는 멀쩡하지만 다른 장기들은 죽어버려 살아갈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