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
물고기가 눈은 옆에 있는데 어떻게 앞을 보는 것 일까?알쓸신잡.com 2021. 7. 2. 07:20
눈은 정말 중요한 신체기관 중 하나입니다. 눈을 통해 현재 상황을 알 수 있고 위험이 다가온다면 피할 수 있습니다. 사람은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 두 개의 눈이 있습니다. 그런 덕분에 물건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고 거리감도 느낄 수 있습니다. 물에 살고 있는 물고기 역시 두 개의 눈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의 눈은 얼굴의 정면이 아니라 측면에 달려있으며 각기 다른 곳을 보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래서 앞을 볼 수 없을 것 같지만 이들에게 시야는 중요핮 않은 듯 물속 자유롭게 헤엄칩니다. 물고기는 그럼 어떻게 앞을 보는 것일까요? 물고기는 어떻게 앞을 보는 것 일까? 그렇지 않은 물고기도 있지만 상당히 많은 종류의 물고기의 눈은 양 옆에 붙어있습니다. 그래서 앞을 볼 수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
멀리 있는 것을 볼 때 눈을 찡그리면 더 잘 보이는 이유알쓸신잡.com 2021. 5. 8. 20:04
우리는 두 눈이 있기 때문에 앞을 볼 수 있지만 시력이 좋지 않으면 멀리 있는 것을 볼 때 흐릿하게 보여 먼 거리를 보는 것이 힘들어집니다. 그래서 안경이나 렌즈 같은 것의 도움을 받아 시력을 교정하고는 합니다. 그런데 때로는 흐릿한것을 볼때 누군가 가르쳐주지도 않았는데 눈에 힘을 줘 찡그린 다음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실제로 더 잘보이는 것 처럼 느껴지곤 하는데 눈을 찡그리면 실제로 멀리 있는 것이 잘 보이게 되는 것 일까요? 정시? 근시? 원시? 물체에서 반사된 빛이 동공을 통해 안구로 들어오고 안구로 들어온 빛이 수정체에 의해 굴절된 뒤 망막에 초점이 맞춰지면 우리는 그 물체를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망막에 초점이 또렷하게 맞춰지는 것을 정시라고 합니다. 어떤 원인에 의해 시력이 나빠져 망막..
-
렌즈나 눈썹이 뒤로 넘어가면 어떻게 될까?알쓸신잡.com 2021. 5. 3. 15:50
우리가 앞을 볼 수 있는 이유는 눈이 있기 때문입니다. 눈은 아주 중요한 신체 기관 중 하나지만 다른 기관들처럼 뼈나 피부가 보호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물론 눈을 감으면 눈꺼풀이 눈을 보호하고 있지만 그렇게 되면 눈이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 우리는 눈을 뜨고 생활을 해야하기 때문에 눈은 항상 위험에 노출 되어 있습니다. 물론 속눈썹이 있어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막아주기는 하지만 오히려 이 속눈썹이 눈에 들어가 이물질이 되어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데 가끔 눈에 이물질이 있는것을 확인했지만 시야에서 사라져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눈에서 제거하지 못한 이물질은 어디로 가는 것 일까요? 눈의 구조 눈은 속눈썹으로 부터 보호를 받고 있는데 속눈썹은 눈에 먼지나 이물질이 들어오지 않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