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신잡.com
-
민트초코를 누가 왜 만든 걸까?알쓸신잡.com 2021. 7. 17. 09:00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리는 가장 대표적인 음식 누군가에게는 혐오감을 심어주는 음식 누군가에게는 행복감을 심어주는 음식 치약맛이 나는 음식 달콤하지만 상쾌한 맛까지 함께 느낄 수 있는 음식 박하와 초콜릿을 섞어 만든 바로 그 음식 이것은 민트초코입니다. 민트초코맛 과자, 민트초코맛 아몬드 민트초코맛 커피, 민트초코맛 소주까지 이제는 아이스크림을 넘어 민트초코가 식품계를 지배하려고 있다고 과장해서 말할 수 있을 정도가 되고 있습니다. 이쯤 되니 민트초코를 처음 만든 사람이 누구인지 궁금할 정도인데 도대체 누가 어떤 이유로 민트초코를 만들어낸 것일까요? 누가 왜 민트초코를 만든 걸까? 1973년 11월 14일 영국에서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딸인 앤 공주의 결혼이 예정되어 있었습니다. 공주의 남편으로 예정된 ..
-
금붕어의 기억력은 정말 3초일까?!알쓸신잡.com 2021. 7. 14. 09:00
우리는 하루에도 많은 것들을 보고 듣고 경험합니다. 이 모든 것을 기억하면 좋겠지만 안타깝게도 기억력에는 한계가 있어서 일부를 제외하고는 잊어버리게 됩니다. 망각은 신의 축복이라는 말이 있긴 하지만 무언가를 기억하지 못한다는 것은 고통스러운 일입니다. 우리 주변에서 기억력이 좋지 않은 사람에게 '기억력이 금붕어냐?'라고 말을 하고는 합니다. '금붕어의 기억력은 3초'라는 말이 있기 때문이죠. 금붕어의 기억력은 정말 3초 밖에 되지 않을까요? 금붕어의 기억력은 정말 3초일까? 금붕어는 잉어과의 민물고기로 붕어와 형태는 비슷하지만 특이하게 금색을 띄고 있는 붕어의 변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주 흔하기도 하고 예쁜 색을 가지고 있는 덕분에 키우면 물고기 하면 떠오르는 것이 바로 금붕어입니다. 그런데 이런 것..
-
자는 데 깨어있다?! 그 이름은 '몽유병'알쓸신잡.com 2021. 7. 13. 09:00
스마트폰을 어느 정도 사용하고 나면 다음 사용을 위해서 충전을 해야 합니다. 이런 것처럼 사람 역시 활동을 하고 나면 내일을 위해 충전을 해야 하죠. 사람은 잠을 자는 것으로 충전을 하게 되는데 때로는 잠을 자는 것도 아니고 깨어 있는 것도 아닌 상태를 경험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것을 '몽유병'이라고 하는데 도대체 몽유병은 왜 발생하는 것일까요? 몽유병은 왜 발생하는 것 일까? 수면은 총 5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처음 잠에 들게 되는 순간이 1단계이고 5분이 지나게 되면 2단계로 접어들게 됩니다. 이때는 얕은 수면이라 작은 소리에도 쉽게 눈이 떠집니다. 그리고 10분에서 15분이 지나면 3단계로 접어들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뇌파, 맥박, 호흡, 혈압 같은 것들이 안정되고 4단계에 들어가면서 깊은 수면에..
-
남자가 여자보다 오래 살 수 없는 이유알쓸신잡.com 2021. 7. 12. 09:00
과학기술과 의학의 발달로 우리들의 수명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평균 수명은 83세 정도로 2000년대 초반 76세였던 것을 보면 짧은 시간 동안 많은 발전을 했던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물론 이것은 사람에 다른 차이가 있겠지만 성별에 다른 차이도 존재하죠. 평균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더 오래 살게 되죠. 이것은 한국뿐만아니라 전 세계가 마찬가지입니다. 똑같은 사람인데 성별에 따라 이런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남자가 여자보다 오래 살 수 없는 이유 과거 성별에 따른 수명에 관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는 남자가 여자보다 더 빨리 죽는 이유가 신체에 무리를 주는 일을 더 많이 하기 때문이었습니다. 젊은 시절 쌓아온 신체적 부담과 부상이 나이가 들면서 수명에 결정적인 영향..
-
사람이 뇌를 100% 사용하면 어떻게 될까?알쓸신잡.com 2021. 7. 11. 09:00
우리가 기억하고, 학습하고, 인지하고, 행동하고, 생각하고 감정을, 느끼고, 감각을 느끼고,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이유는 뇌가 있기 때문입니다. 야생동물에 비해 날카로운 무기가 없었던 인류가 지구를 지배할 수 있었던 이유는 그들에 비해 뇌가 발달했기 때문입니다. 뇌는 사용할수록 계속 발달합니다. 은잡지를 시청하느 지금 이 순간에도 여러분들의 뇌가 발달하고 있죠. 뇌가 계속 발달한 덕분에 많은 과학자들이 뇌를 연구했지만 아직까지 모든 비밀을 알아내지는 못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이런말이 있습니다. 인간은 뇌를 10%사용하고 있다. 뇌를 100%를 사용하게 된다면 초능력을 사용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정말로 우리가 뇌를 100% 사용한다면 초능력을 사용 할 수 있을까요? 뇌를 100% 사용한다면? 뇌를 ..
-
지문은 왜 있는 것이며 없으면 어떻게 될까?!알쓸신잡.com 2021. 7. 10. 09:00
돈이 없으면 앞을 볼 수 없습니다. 코가 없으면 냄새를 맡을 수 없습니다. 입이 없으면 음식을 먹을 수 없고 이가 없으면 음식을 씹을 수 없습니다. 이처럼 우리 몸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각자 존재의 이유가 있습니다. 폐가 없으면 숨을 쉴 수 없고 위가 없으면 소화를 할 수 없고 장이 없으면 배출을 할 수 없습니다. 눈썹이 없으면 눈에 이물질이 들어가고 코털이 없으면 코에 이물질이 들어가고 손톱이 없으면 물건을 꽉 쥘 수 없고 그리고 지문이 없으면...? 지문은 왜 있는 것이며 없으면 어떻게 될까요? 지문은 왜 있는 걸까? 지문은 손가락 끝에 있는 소용돌이 모양의 무늬를 말하는 것으로 사람뿐만 아니라 영쟝류라면 대부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양은 제각각으로 DNA가 같은 일란성 쌍둥이라고 할지라도 지..
-
인류는 왜 모기를 멸종시키지 않는 걸까?알쓸신잡.com 2021. 7. 9. 16:22
여름이 되면 더운 날씨 때문에 짜증이 나기도 하지만 주변에서 귀찮게 하는 벌레들 때문에 짜증이 나기도 합니다. 그중에서도 무기가 많은 사람들의 신경을 거슬리게 하는 벌레 중 하나일 것입니다. 모기는 귓가를 맴돌며 앵앵거려 사람을 미치게 만들기도 하고 앵앵거림과 가려움만으로 눈에 띄는 즉시 죽여버려야 하는 벌레로 인식되는 데다 우리 인생에서 도움이라곤 전혀 안 되는 녀석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매년 여름 이렇게 피해를 받고 있는데 도대체 인류는 왜 모기를 멸종시키지 않는 것일까요? 모기에 대하여 모기는 여름이 되면 대표적으로 보이는 벌레이며 인간에게 해를 입히는 해충입니다. 지구에 세 살고 있는 동물 중 인간에게 가장 치명적인 동물은 무엇일까요? 통계 자료에 따르면 3위가 뱀이고 (1년에 5000..
-
막대 아이스크림을 발명한 것은 11살 짜리 소년이였다고?!알쓸신잡.com 2021. 7. 8. 09:00
더운 여름 아이스크림을 한입 하는 것만큼 커다란 만족감을 주는 일은 많지 않습니다. 만약 아이스크림이 발명되지 않았다면 어땠을까요? 처음 아이스크림이 만들어졌을 때는 지금처럼 냉동 보관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귀족들만 먹을 수 있는 아주 귀한 간식이었습니다. 이후 냉장고가 보급되면서 아이스크림 역시 값이 내려가게 되었고 누구나 즐겨먹을 수 있는 최고의 간식이 되었죠. 그리고 이때부터 여러 가지 종류의 아이스크림이 만들어지게 되었는데 이 중에서 막대 아이스크림은 미국의 11살짜리 소년이 발명했다고 합니다. 11살짜리 소년이 어떻게 막대 아이스크림을 발명했을까? 1905년 미국에서는 자신의 취향대로 음료수를 만드는 DIY 음료수가 유행이었다고 합니다. 캘리포니아에 살고 있는 프랭크 에퍼슨이라는 소년 역시 이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