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빨대는 구멍이 몇 개 있는 걸까?알쓸신잡.com 2021. 7. 23. 11:07728x90SMALL
이것은 빨대입니다.
음료를 마실 때 주로 사용하는 물건이죠.
인터넷에서 빨대의 구멍은 몇 개 인가하는 글을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여기에는 세 가지 주장이 있는데
빨대에는 음료가 들어가는 구멍과 나오는 구멍이 있으니
총 두 개라는 주장과
그냥 하나의 긴 구멍일 뿐이라는 주장과
애초에 직사각형을 돌돌 만 것이니
구멍이 있는 것이 아니라는 주장입니다.
이것은 모두 맞는 말인 것 같으면서도
아닌 것 같기도 하고
뭔가 하나의 답으로 저리 될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빨대의 구멍 개수는 도대체 몇 개가 맞는 것일까요?
빨대는 구멍이 몇 개 일까?
사실 빨대 구멍이라는 것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모두가 정답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수학적 관점으로 조금 더 논리적으로 접근해봅시다.
물체의 모양이 바뀌어도 바뀌지 않는 기하학적 성질을 연구하는 분야를
위상수학이라고 합니다.
위상수학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 점에서 시작해 그 점으로 끝나는 곡선을 폐곡선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같은 점으로 끝나지 않는 곡선을 계곡선이라고 하죠.
어떤 물체를 끊어지지 않게 자를 수 있는 폐곡선의 최대 개수를
종수라고 합니다.
쉽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지금 눈앞에 구 모양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폐곡선을 이용해 구를 자르면
어떤 방향으로 자르든 구는 두 개로 나누어지게 됩니다.
즉 구는 끊어지지 않게 자를 수 없으니
종수는 0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 눈앞에 도넛 모양의 물체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폐곡선을 이용해 한 번 자르면
어떤 방향으로 잘라도 도넛은 계속 형태가 유지됩니다.
그리고 한 번 더 자르면 도넛은 두 개로 나누어지게 됩니다.
도넛은 끊어지지 않게 한번 자를 수 있으니
종수는 1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도넛 모양의 물체가 두 개 붙어있는 이것은 어떨까요?
폐곡선을 이용해 이 물체를 한번 잘라도 형태는 유지되고
두 번 잘라도 형태는 유지되고
그리고 세 번 잘랐을 때 두개로 나누어지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물체의 종수는 2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바꿔 말하면 종수는 물체의 구멍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빨대를 폐곡선으로 잘라봅시다.
폐곡선으로 빨대를 한 번 잘라도 빨대의 형태는 유지됩니다.
그리고 두 번 자르면 빨대는 두 조각으로 나누어지겠죠.
그렇기 때문에 빨대는 종수가 1
즉 구멍이 하나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수학적 관점에서 빨대의 구멍 개수 문제를 풀어보았습니다.
재밌게 봐주셨다면 구독 꾸욱!
728x90LIST'알쓸신잡.co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소가 없어도 살아남을 수 있는 동물이 있다? (1) 2021.07.30 배곱 때를 제거하면 어떻게 될까? (2) 2021.07.26 약속을 할 때 왜 새끼손가락을 거는 걸까? (0) 2021.07.19 거짓말 탐지기는 절대 거짓말 하지 않을까? (0) 2021.07.18 민트초코를 누가 왜 만든 걸까? (0) 2021.07.17